보도자료

  1. 현재위치
  2. 홍보
  3. KBRI NEWS
  4. 보도자료
강한 단맛이 쓴맛을 지우는 이유 찾았다
제목 강한 단맛이 쓴맛을 지우는 이유 찾았다
부서 대외협력센터
등록일자 2024-04-18
첨부파일 pdf 20240418_[한국뇌연구원] 강한 단맛이 쓴맛을 지우는 이유 찾았다.pdf
 
강한 단맛이 쓴맛을 지우는 이유 찾았다
- 한국뇌연구원 강경진 박사팀, 미각신경세포 조절 미세환경 원리 규명
- 초파리에서 미각 항상성 유지 기전 연구, 국제학술지 ‘eLife’ 발표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 강경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신경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환경의 새로운 활성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신경세포를 둘러싼 미세환경은 신경세포의 활성과 조절에 중요하지만, 미세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신경세포의 활성을 보존하는 방법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강경진 박사 연구팀은 초파리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미각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미세환경 보존에 대한 새로운 작동 원리를 규명하였다.

연구팀이 사용한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동물모델은 발효되고 있는 과일에 주로 알을 낳고 살기 때문에, 강한 단맛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강한 단맛을 맛보게 되면, 단맛미각신경세포가 활성화되어 주변의 미세환경 중 상피전위(TEP)*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단맛에 의해 상피전위가 떨어지면, 미각기관 안에서 상피전위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종류의 미각신경세포, 예를 들어 쓴맛미각신경세포 등이 영향을 받아 둔감해지거나 심하게는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상피전위(Transepithelial Potential, TEP): 미각신경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미세환경 중 하나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온들을 비대칭적으로 수송함으로써 생성되며, 이러한 수송이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세포들을 가로질러 일어남. 즉 뇌에서는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교세포 등이 담당 할 수 있음. 이러한 전위차는 신경세포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함으로써 신경세포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침

또한 연구팀이 단맛에 오랜 시간 노출되었던 초파리가 쓴맛을 구별할 수 있는지 섭식 행동실험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신경세포 이온통로의 한 종류인 과분극 활성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개폐통로(HCN)’*가 존재할 때만 쓴맛을 회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CN이 단맛 미각수용신경세포에 발현되어 단맛신경세포의 과다한 활성을 줄이고 이 결과로 상피전위(TEP)의 변화도 최소화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되었다.

* 과분극 활성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개폐통로(Hyperpolarization-activated cyclic nucleotide gated channel, HCN): 심장과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통로

강경진 책임연구원은 사람이 속한 포유류에서도 HCN이 감각수용세포 내에서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발현되어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앞으로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자극에 대해 감각기관이 기능적 항상성을 보존하는 원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에는 한국뇌연구원 이민혁 학생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 IF:7.7)’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초파리 HCN은 단맛 환경에서 감각선 상피전위를 보존하여 미각 항상성을 매개한다(Drosophila HCN mediates gustatory homeostasis by preserving sensillar transepithelial potential in sweet environments)
* (저자) 이민혁(학생연구원), 박세훈(학생연구원), 강경진(교신저자)
 
 
강한 단맛이 쓴맛을 지우는 이유 찾았다
윗글 -
아랫글 한국뇌연구원, 메타물질 기반 뇌융합기술 개발 협력체계 구축